주식투자/시장 파악하기

2022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총소득 현황 (2023년 3월 7일 보도자료)

LeejiiLab 2023. 3. 10. 18:03

▶ 요약


◆ 2022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0.4% 감소 (명목 국내총생산은 0.1% 성장)

→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0.1% 감소 (명목 국민총소득은 0.4% 증가)

◆ 2022년 연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대비 2.6% 증가 (명목 국내총생산은 2,150.6조원으로 전년대비 3.8% 증가)

→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4,220.3만원으로 전년대비 4.3% 증가 (미 달러화 기준 32,661달러)

◆ 통계로 보는 국민소득

2022년 경제성장률 GDP & GNI (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2022년 경제규모 (명목) GDP & GNI
2022년 경제규모 (명목) 1인당 GDP & GNI

 

▶ 2022년 4분기 국민소득


1. 실질 국내총생산과 지출

2022년 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0.4% 감소

▷ 경제활동별

  • 제조업은 화학제품,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1차금속 등이 줄어 4.4% 감소
  • 건설업은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2.1% 증가
  • 서비스업은 운수업, 금융 및 보험업, 의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을 중심으로 0.9% 증가

▷ 지출항목별

  • 민간소비는 재화(가전제품, 의류 및 신발 등) 및 서비스(음식숙박, 오락문화 등) 소비가 줄어 0.6% 감소
  • 정부소비는 물건비,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2.9% 증가
  •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0.8% 증가
  •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늘어 2.7% 증가
  • 수출은 화학제품,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을 중심으로 4.6%감소하였고, 수입은 원유, 1차 금속제품 등이 줄어 3.7% 감소

 

2. 국민총소득

▷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0.4% 증가 (전년동기대비 2.7% 증가)

→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7.2조원 → 8.9조원)이 증가하여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1%)을 상회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교역조건 개선에 따른 실질 무역손실 축소로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4%)을 상회한 -0.1%를 나타냄 (전년동기대비 1.0% 감소)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0.4% 상승

 

3. 저축률과 투자율

총저축률(32.3%)은 최종소비지출 증가율이 국민총처분가능소득증가율을 상회하여 전기대비 0.5%p 하락

국내총투자율(33.6%)은 총자본형성이 감소하여 전기대비 0.9%p 하락

 

▶ 2022년 연간 국민소득


1. 경제성장 및 실질 국민총소득

2022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대비 2.6% 성장

▷ 2022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제조업의 증가폭이 축소되었으나 서비스업의 증가폭이 소폭 확대

지출항목별로는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감소하고, 수출과 수입은 증가세가 둔화되었으나 민간소비 등은 증가폭이 확대

2022년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증가하였으나 교역조건 악화로 실질 무역손실이 크게 확대되어 1.0%감소

 

2. 경제규모 및 국민총소득

2022년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150.6조원으로 전년대비 3.8%성장하였으며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환율 상승(연평균 12.9%)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8.1% 감소한 1조 6,643억 달러를 나타냄

2022년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어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3.8%)보다 높은 4.0% 증가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4,220.3만원으로 전년대비 4.3% 증가하였으며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32,661달러로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대비7.7% 감소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대비 1.2% 상승

 

3. 저축률과 투자율

총저축률은 33.7%로 전년보다 2.6%p 하락하였으며, 국내총투자율은전년보다 1.0%p 상승한 32.8%를 기록

 

▶ 국민소득통계 주요지표


1.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2. GDP에 대한 성장기여도(계절조정계열)

 

3. 경제활동별 성장률(계절조정계열)

 

4. 지출항목별 증가율(계절조정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