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투자주요정보

저성장‧기후변화 극복을 위한 「바이오 경제2.0 추진 방향」 발표

LeejiiLab 2023. 7. 21. 13:50
- 2030년 바이오 경제 생산 100조 원, 수출 500억 달러를 목표로 ❶바이오의약품, ❷바이오 신소재, ❸바이오에너지, ❹디지털 바이오, ❺기반 등 5대 분야 추진 방향 제시

- 바이오 경제 2.0 원탁회의 개최 계기, 민관 바이오 경제 얼라이언스도 함께 출범

세계적으로 저성장, 기후변화 등 경제‧사회 문제 극복 방안으로 바이오 경제가 부상함에 따라 주요국들이 바이오 경제 선점을 위해 경쟁적으로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기존 의약품 중심의 「바이오 경제 1.0」을 넘어 바이오 의약품 제조 초격차 확보와 함께 바이오 신소재, 바이오에너지, 디지털 바이오 등 바이오 신산업 본격 육성을 위해 「바이오 경제 2.0 추진 방향」을 발표하였다.

* 바이오 경제 : 바이오 자원에 기반한 공정‧제품‧서비스를 활용하여 경제‧사회의 발전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경제 구조(메커니즘)

산업부 이창양 장관은 7. 19.(수) 서울 바이오허브(홍릉 바이오 클러스터)에서 「바이오 경제 2.0 원탁회의」(제9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개최하고 업계 대표 및 관계자들과 함께 바이오 경제의 발전 방향과 전략을 논의하였다. 이번 회의는 지난 6.1일 대통령 주재 수출전략회의에서 논의된 바이오 분야 규제 완화, 클러스터 육성 등 정책과제 이행을 위한 후속 조치의 하나다.

산업부가 이날 발표한 「바이오 경제 2.0 추진 방향」은 크게 △ 2030년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 도약 △바이오 신소재 산업 활성화 △바이오에너지상용화 △디지털 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바이오 경제 기반 구축 등 4+1 추진 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부는 이를 통해 2030년 바이오 경제생산 규모 100조 원, 수출 규모 500억 달러 목표를 달성할 계획이다. 원탁회의에 앞서, 산업부, 5개 관련 협회, 2개 관계 학회, 4개 산업지원기관 등이 참여하여 바이오 경제 추진 방향을 이행할 「바이오 경제 얼라이언스」를 발족하였다.

 

▶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


바이오경제는 바이오 자원에 기반한 공정‧제품‧서비스를 활용하여 경제‧사회의 발전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실현하는 경제 메커니즘으로, 세계적으로 저성장‧기후변화 등 경제‧사회 문제 극복의 필수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주요국들도 바이오경제 선점을 위해 경쟁적으로 지원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 (美)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이니셔티브」(‘22.9) (日) 「바이오 전략 2019」 (‘19.6) (EU) 다국적 연구사업 ‘Horizon Europe’으로 바이오 R&D 지원(‘21~’27)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

최근 의약품 분야에서는 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등 혁신 바이오의약품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등 차세대 모달리티(modality, 藥種)가 부상하고 있고, 신약개발과 제조(위탁생산, CMO)간 분업화가 가속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친환경 바이오신소재 및 바이오 에너지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바이오빅데이터, 디지털의료기기 등 AI‧디지털과 바이오간융합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바이오경제의 높은 성장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이를 뒷받침할 국내 기반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산업부는 민관이 합심하여 바이오의약품 제조 초격차를확보하고, 동시에 바이오신소재, 바이오에너지, 디지털바이오 등 미래 유망 바이오 신산업을 본격 육성하여 바이오경제를 확장하고 강화하여 2030년 바이오경제 생산 100조원, 수출 5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을 발표하였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은 ①2030년 세계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도약 ②바이오신소재 산업 육성 ③바이오에너지 상용화 ④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 구축 ⑤바이오경제 기반 구축 등 4+1 추진방향을 통해 2030년까지 ▹바이오의약품 분야 15조원 규모의 민간투자 총력 지원, ▹바이오납사 국내생산 20만톤으로 확대, ▹신재생에너지혼합의무(RFS) 비율 8%로 상향, ▹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50건 상용화 등을 분야별 목표로 제시하였다.

바이오경제 2.0 실현을 위한 추진방향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

먼저, 세계 1위 바이오의약품 제조국으로 도약을 목표로 민간투자 확대, 원부자재 국산화, 제조역량 강화, 바이오클러스터 활성화 등을 분야별로 총력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현재 바이오분야에서는 백신기술만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되어 있으나 바이오의약품까지 확대하여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투자세액공제를 대폭 확대하고, 생산공장 조기 준공에 필요한 부지, 전력 등 인프라도 적극 지원한다.

또한, 원부자재 R&D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전략적 외국인 투자유치 등을 통해 현재 5%인 원부자재 국산화율을 2027년 10%, 2030년 15%까지 제고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가바이오파운드리(예타중)를 구축하여 바이오 개발‧공정을 표준화‧고속화‧자동화하고, 바이오 기반 제품의 상용화 가속화를 위한 한국판 BioMADE* 설립(예타 기획중)하여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 강화를 지원해 나간다. 바이오 국가첨단산업 특화단지 지정 추진 등 바이오 클러스터도 적극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 미국은 BioIndustrial Manufacturing & Design Ecosystem(BioMADE)를 설립(‘20.10월)하여바이오 제조 관련 경쟁력 제고 및 인프라에 대한 투자위험 제거 임무 수행 중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

둘째, 바이오신소재 산업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환경표지인증 유효기간 연장 및 기준 세분화 추진 등을 통해 바이오신소재 시장을 창출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바이오가스화 실증, 표준개발 등 생분해성 플라스틱 산업 기반을 마련하고, 생분해‧바이오매스 기반 섬유·식품 기술개발과 사업화를 촉진하는 등 바이오신소재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현재 국내에서 활용중인 바이오납사 5만톤을 전량 수입하고 있으나 원료기술 개발을 통해 2030년 연간 20만톤까지 국내생산할 계획이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

셋째, 친환경 바이오에너지를 상용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석유정제업자의 바이오제품 생산을 위한 석유사업법 개정을 추진하고, 바이오에너지의 사용처 확대 등에 따른 품질의 신뢰성 확보 등을 위한 국가‧국제 표준 개발 등 제도를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생산-수요 업계가 참여하는 바이오항공유와 바이오선박유 실증연구를 금년 하반기부터 추진하고, 수소첨가 바이오디젤 실증연구를 통해 신재생에너지연료혼합의무(RFS) 비율을 2030년까지 현재 목표 5%에서 8%까지 상향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안정적 바이오에너지 원료 확보를 위해 국내외 현황조사 및 업계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차세대 바이오연료 기술개발 예타도 추진할 계획이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

넷째, AI‧ICT 융합 디지털바이오 혁신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100만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생성형 AI 기반 바이오데이터 개발, 바이오데이터 국가간 교류 등을 통해 안전한 바이오데이터 활용 기반을 조성해 나갈것이다.

또한, 규제개선, 실증, 인증 등을 통해 2030년 디지털헬스 서비스50건을 상용화하고, AI 등을 활용한 디지털치료기기 기술도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반도체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자가진단 센서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나노 등 타기술과 접목한 기술융합형 제품화 성공사례를 2030년까지 50건 이상 창출할 계획이다.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대한민국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바이오경제 2.0 추진방향)

마지막으로, 규제, 인력, 수출 등 바이오경제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해외에 없는 갈라파고스 규제를 정비하고 첨단바이오기술 등에 대한 제도공백 해소를 통해 신시장 창출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K-NIBRT 등 대규모 생산공정실습시설 구축, 산학융합형 교육확대 등 바이오헬스 초격차 확보를 위한 핵심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아울러 360조원 규모의 무역금융 활용, 해외인증지원단 등을 통한 인증 컨설팅 제공, 현지 KOTRA 무역관내 K-바이오 데스크 설치 추진, 바이오경제동반자협정(BEPA) 추진, 미국‧UAE 등 정상외교 성과 활용 등을 통해 바이오 분야 수출을 총력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