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 국제화 및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영문 DART 서비스가 개선됩니다.
- ’23.7.31.(월) 新 영문 DART 시스템 정식 가동 -
▣ (추진배경) 주요국에 비해 영문공시의 다양성 및 접근성 부족 등이 국내 증시에 대한 저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으로 작용
☞ 그간, 외국인 투자자가 기업의 법정공시 발생 사실을 즉시확인할 수 있는 공시채널이 부재한 상황
▣ (추진경과) 금융위·금감원·거래소 등은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시장 접근성 강화를 위한 ‘영문공시 단계적 확대 방안*’을 마련(’23.1월)
* 금융위·금감원·거래소는 ‘대규모’ 상장사부터, ‘시장에서 필요한 중요 정보’ 중심으로 영문공시를 의무화하는 방안 등을 마련(‘23.1.25. 관계기관 합동 보도)
☞ 동 방안의 일환으로 기업의 추가적인 공시 부담 없이도 외국인투자자가 영문정보 확대 기조를 우선 체감할 수 있도록 영문 DART* 개선에 착수(’23.4월~)
* 영문 DART (https://englishdart.fss.or.kr/)
➡ 공시 제출 즉시 외국인 투자자가 영문 법정공시 보고서명을 실시간 파악하고, 국제 수준의 XBRL 재무제표 조회 기능을 제공하는 등 영문 DART 개선을 완료하고, ’23.7.31.(월) 정식가동
▶ 주요 내용
1. 영문 공시·검색범위 확대 (법정공시 보고서명 등 영문검색)
▣ 회사명, 보고서명, 첨부파일명 등을 영문으로 실시간 자동변환하여 영문 DART에서 항목별 영문 검색* 기능 제공
* [Today‘s Disclosure] 당일 제출된 상장사의 국문 공시 영문제목 등 실시간 표시
[Search by Company] 상장사의 국문 공시 검색 및 열람(예: 회사명에 ‘Samsung Electronics’ 입력 → 삼성전자의 모든 공시 검색)
☞ 다만, 기업이 작성해야 하는 공시내용은 국문으로 제공하되 외국인 투자자들은 영문 보고서명을 통해 공시 사실을 파악하고 번역기를 활용하여 공시 내용*을 확인(일본 영문 전자공시 방식)
* ‘24년부터 자산총액 10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 등은 주요 거래소 공시를 국문공시 후 3영업일 이내 영문으로 제출하여 함(단계적 확대 예정)
2. 조회 대상 회사 범위 확대 (코넥스 및 비상장법인 추가)
▣ 조회 대상 회사 범위를 기존 코스피‧코스닥 상장사에서 DART에 공시서류를 제출하는 법인(코넥스, 비상장법인 포함) 전체로 확대
3. XBRL 재무제표 영문 조회 서비스 고도화 (’23.3분기보고서부터)
▣ 기존에는 XBRL 재무제표 본문의 영문 계정과목명, 금액 등 단순 조회만 가능하였음
☞ 다양한 속성값(국제표준 ID, 차·대변 속성, 표시단위 등)을 조회할수 있는 XBRL 전용 뷰어*를 제공(미국, 유럽 방식)
* 전용 뷰어는 新XBRL작성기로 작성되는 ‘23.3분기 보고서(’23.11월)부터 활용가능(‘XBRL 뷰어’ 링크 클릭→XBRL 뷰어에서 재무제표 항목별 조회 및 엑셀 다운로드 등 제공)
☞ 또한, 영문 DART에 주석 조회 기능을 탑재하여 추후에 XBRL주석*이 제출되면 실시간 영문 변환(목차, 주석표 등)을 하여 제공
* XBRL 주석은 자산총액 2조원 이상 기업이 ‘23년도 사업보고서(’24.3월)부터 제출하여 정보 제공
▶ 기대 효과
▣ (공시정보 적시 제공) 외국인 투자자가 기업의 법정공시 발생사실 등을 영문으로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공시정보의적시성 제고
▣ (재무정보 비대칭성 해소) 기업의 질적 재무정보 요소인 재무제표를 공시 즉시 영문으로 확인하고 편리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어 재무정보의 비대칭성 해소
☞ XBRL 표준계정 체계를 활용하여 재무제표 등 재무정보의 국제적 비교분석이 가능
▣ (검색 효율성 제고) 외국인 투자자가 영문 DART에서 코넥스, 비상장회사 공시 및 거래소 영문공시(자동변환) 사항도 추가로 조회할 수 있게 되어, 정보 검색 효율성 제고
▶ 향후 계획
▣ (영문공시 지속 개선) 영문공시 서비스 고도화 및 인프라 지속확대 추진(’24년~, 추진 일정은 상황에 따라 조정 가능)
☞ 국문 법정공시 등의 서식 부분을 자동으로 영문 변환*하여제공할 수 있도록 영문 DART 개선(거래소의 영문변환 방식과유사)
* 국문 서식 안에 영문 레이블을 이식하여 영문 DART에서 서식의 국문 레이블을 영문으로 자동 변환
☞ 주요 공시정보(81종)의 분석‧활용을 위한 전용 서비스인 ‘Open DART’의 영문 서비스 구축 추진
▣ (거래소 연동) 영문 DART에서 거래소 영문 자동변환(제목·서식) 공시도 포함하여 통합 제공
☞ 거래소 등 관계기관 전송 테스트 등을 마무리한 후 추후제공
본 자료의 출처는 금융감독원(https://www.fss.or.kr/)에 있습니다.
'주식투자 > 투자주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케이 이앤에스(SK E&S) 액화수소 생산시설 현장 점검 (47) | 2023.08.03 |
---|---|
투자자 보호를 위한 불합리한 CFD 업무 관행 개선 (51) | 2023.08.02 |
민간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34개 우수기업연구소 지정 (45) | 2023.08.01 |
에너지신산업 수출동력화 수출3배 달성 글로벌 Top 3 목표 (49) | 2023.07.31 |
2022년 국내 식품산업 100조 원 돌파 - GDP대비 4.9% (39) | 2023.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