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세계 경제성장률(실질 GDP) 및 세계상품교역량(WTO)
▣ 2009년 금융위기부터 2020년 팬데믹 발생 전까지 세계상품교역량 증가율은 세계경제성장률의 평균 0.9배 수준에 머물렀으며, 팬데믹 이후에도 세계경제성장률과 보합 수준을 기록 중
▣ 2022년 우리나라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은 2.74%로 2017년(3.23%) 대비 0.49%p 하락했으며, 주요국 중 중국(+1.67%p) 및 베트남(+0.28%p)의 점유율은 상승
- 최근 10년 동안 우리 수출은 연평균 7.4% 성장해 세계수출성장세(연평균 6.9%)를 상회했으나, 베트남(연평균 16.8%) 및 중국(12.8%)의 수출은 상대적으로 더 빠르게 성장 중
▶ 한국과 주요국들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국가 |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 | 연평균성장률 (2013 ~ 2022) |
||||
2002 | 2007 | 2012 | 2017 | 2022 | ||
한국 | 2.50 | 2.65 | 2.96 | 3.23 | 2.74 | 7.4 |
미국 | 10.66 | 8.18 | 8.35 | 8.72 | 8.29 | 5.6 |
중국 | 5.01 | 8.70 | 11.07 | 12.76 | 14.43 | 12.8 |
독일 | 9.47 | 9.42 | 7.57 | 8.16 | 6.65 | 5.1 |
일본 | 6.41 | 5.09 | 4.31 | 3.94 | 3.00 | 3.0 |
▶ 최근 한국의 무역과 수출 전망
▣ 2022년 4분기부터 세계경제 및 교역 부진이 심화되며 한국의 수출 부진도 확대
- 러시아가 촉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물가와 원자재들의 급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며 2022년 10월을 기점으로 세계교역량이 감소세로 반전되며 전반적인 수출여건 악화
- 2023년 1분기 수출도 12.6%감소하는 등 수출부진이 확대되어 무역수지도 크게 악화되는 추세
▣ 코로나19를 시점으로 차세대반도체 · 차세대디스플레이 · 전기차 · 2차전지 · 바이오헬스 등 5대 신성장산업은 수출비중이 빠르게 상승하며 우리 수출의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음
- 전체 수출 중 5대 신성장 산업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8.5%에 불과했으나, 2022년 24.0%까지 빠르게 상승하면서 우리 수출의 핵심 성장동력으로 부상 중
* 5대 신성장 산업 수출비중(%) : (’11) 8.5 → (’16) 13.1 → (’19) 19.7 → (’20) 23.0 → (’21) 23.9 → (’22) 24.0
'주식투자 > 시장 파악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현재(5~6월) 중국 경제와 전망 (0) | 2023.06.29 |
---|---|
2023년 5월 수출입 동향 (0) | 2023.06.11 |
글로벌 LFP 배터리 시장 동향 (1) | 2023.06.04 |
2023년 5월 소비자물가(지수) 추이와 동향 (0) | 2023.06.03 |
2023년 4월 무역지수 (0) | 202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