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 최근 신규로 상장하는 스팩(SPAC)의 상장 직후 주가가 급등락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스팩은 합병을 위한 도구(Vehicle) 역할만을 하며 합병 이전에는 공모가(통상 2,000원) 수준의 가치만을 가집니다.
☞ 높은 가격의 스팩에 투자할 경우 큰 손실이 발생할 우려가있으므로 투자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됩니다.
[ 스팩 주가 급등락 관련 투자자 유의사항 ]
① 급등한 스팩의 주가는 언제든지 공모가 수준으로 급락할 수 있으며, 따라서 투자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스팩 주가가 높은 경우 낮은 합병비율이 적용될 수 있으며, 합병상대 법인은 높은 가격의 스팩과 합병을 기피하므로 합병에 실패할수 있습니다.
③ 합병 실패로 스팩이 청산하는 경우, 투자자는 공모가와 소정의 이자만 받게 되므로, 높은 가격에 스팩을 매수한 투자자는 손실이 발생합니다.
※ 【참고】 스팩 구별법
스팩은 다음과 같은 명칭을 부여하므로 종목명을 통해 구별할 수 있습니다.
▶ 배경
▣ 최근 신규로 상장하는 스팩(SPAC)의 상장일 주가가 급등하여 공모가격을 크게 상회하는 경우가 발생
☞ 스팩은 다른 기업과의 합병이 유일한 목적인 명목회사(Paper Company)로, 합병 전 주가는 공모가(통상 2,000원)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최근 주가 급등은 이례적
※ 합병 전 스팩의 가치
❑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합병 전 스팩의 가치는 공모가 수준으로 형성
① 스팩은 공모총액에 해당하는 현금성 자산만을 보유
② 스팩 합병 시, 통상 스팩의 합병가액은 공모가 수준만 인정
③ 스팩 청산 시(합병실패), 투자자는 공모가 수준의 청산금액을 분배받음
▶ ‘23.1월~7월 신규상장 스팩 주가 현황 분석
※ ‘23.1월~7.21일 중 신규로 상장한 스팩(18개)를 대상으로 주가 현황 분석
▣ ’23.1월~7월 중 신규로 상장한 스팩은 총 18개(코스닥)이며, 이중 최근(7월 중) 상장한 스팩(3개)의 상장일 주가가 급등
☞ 1~6월 중 상장한 스팩(15개)의 상장일 주가는 공모가 대비 평균 4.5% 상승, 반면 7월 상장한 스팩(3개)은 평균 151.8% 상승
- 급등 스팩(3개)은 상장 7일 후 주가가 상장일 주가 대비 평균 46.5% 하락[5,035원 → 2,695원(∆2,340원)]하는 등 주가 급락
▶ 투자자 유의사항
스팩은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낮다’는 통념과 달리,
공모가 대비 주가가 높은 스팩에 투자할 경우 손실 발생 가능성이 크므로 각별한 주의 필요
※ 스팩은 사업을 영위하지 않고 현금성 자산만을 보유하며 다른 법인과의 합병이 유일한 목적인 회사이므로, 급등한 스팩의주가는 언제든지 급격하게 하락 할 수 있습니다.
※ 스팩이 다른 법인과 합병할 때, 통상 스팩의 합병가액은 공모가 수준만 인정됩니다. 따라서 높은 가격에 스팩을 매수한주주는 낮은 합병비율이 적용됩니다.
- 합병상대법인 주주는 지분율 희석을 우려하여 주가가 높은 스팩과 합병을 기피하므로 합병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스팩이 합병에 실패하여 청산하는 경우, 투자자는 공모가와 소정의 이자만 받게 됩니다. 따라서 높은 가격에 스팩을 매수한 주주는 스팩이 청산하는 경우 손실이 발생합니다.
본 내용의 출처는 금융감독원(https://www.fss.or.kr/)에 있습니다.
'주식투자 > 투자주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국내 식품산업 100조 원 돌파 - GDP대비 4.9% (39) | 2023.07.31 |
---|---|
'23년 상반기 역대 최대 수출 달성한 K-아이스크림!!!!!! (35) | 2023.07.30 |
우수 혁신기업의 자본시장 진입로 기술특례상장 제도 개선을 위한 14개 과제 (28) | 2023.07.30 |
'23년 상반기 농림식품 신기술(NET) 12건 신규 인증 (57) | 2023.07.29 |
항공위성서비스(KASS) 인터넷 제공 위치정보서비스 기업과 업무협약 (38) | 2023.07.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