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양국 기업 간 경제협력 양해각서(MOU)와 계약 16건이 체결되었으며 인도네시아 정부와 전기차 생태계 조성 협력 확대와 바이오·뿌리산업 등 미래산업의 육성·협력을 위한 정부 간 양해각서 2건을 체결하였다.

▶ 중국 손절 미국이 밀어줄 때 빠르게 ~ 인구대국 인도네시아를 잡아라!
한-인니, 원전·모빌리티 등 MOU/계약 16건 체결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한-인니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에서 양국 주요 경제인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전, 모빌리티, 핵심광물, 자원재활용, 청정에너지 등 7개 분야에서의 협력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경제협력 양해각서(MOU)와 16건의 계약을 체결하였다.
양국의 미래 50년을 함께 동반 성장하기 위한 새로운 협력 기반으로 원전 분야는 원전산업 기반조성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가 체결되었고, 모빌리티 분야는 전기이륜차·주차 통합솔루션 등 2건 체결, 핵심광물 분야는 공동연구 및 공급망 구축 등 2건, 자원 재활용 분야는 화이트바이오(생분해 소재) 1건, 전력‧청정에너지 분야는 친환경 설비전환, 그린암모니아, 탄소포집저장(CCS), 전력기기 등 5건, 산업 분야는 뿌리산업, 건설기계, 패션유통 등 3건, 보건‧정책 분야는 의료시설 위탁계약, 아세안 정책연구 등 2건이 체결되었다.
한-인니 민간 경제협력 양해각서/계약 세부 내역
분야 | 명칭 (서명자&업체) |
주요 내용 |
원전 | 원자력 산업 협력 양해각서 (한)원전수출산업협회 - (인니)원자력협회 |
소형모듈원전 등을 포함한 원전 정보의 교류, 인력양성 협력 등 |
모빌리티 | 모빌리티 운영 협력 양해각서 (한)카카오모빌리티 - (인니)Soulparking |
주차장 사업 등 모빌리티 통합솔루션 제공및 운영시스템 통합 지원 |
전기이륜차 생산기반 구축 협력 양해각서 (한)현대케피코, E3모빌리티 - (인니)Sentrik, Dharma |
인니 내 전기이륜차 생산기지 구축 협력* (공장 투자‧생산) Sentrik, (제조기술 지원) E3 모빌리티, (부품 공급) 현대케피코, Dharma | |
핵심광물 | 핵심광물 공동연구센터 설립 양해각서 (한)지질자원연구원 - (인니)반둥공과대학 |
인도네시아 핵심광물과 국내 배터리 산업 간공급망 구축형 공동 기술개발을 위한 연구센터 설립 협력 |
핵심광물 공급망 및 기업 투자 촉진 협력 강화 MOA (한)광해광업공단 - (인니)니켈협회 |
핵심광물 분야 재자원화 밸류체인 개발, 정보‧인력 교류 등 | |
자원재활용 | 순환경제를 위한 화이트바이오 산업협력 양해각서 (한)산업연구원 - (인니)산업부 |
바이오 기반산업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투자 유치 환경 조성, 화이트 바이오산업 시장 개척을 위한 정책개발 협력 |
전력‧청정에너지 | 배출저감 및 친환경 플랜트 전환 협력 양해각서 (한)두산에너빌리티 - (인니)전력공사IP |
수랄라야(Suralaya) 발전소의 친환경 설비 전환을 위한 협력 |
그린 암모니아 공급망 공동개발 협력 양해각서 (한)두산에너빌리티 - (인니)IRT |
녹색 암모니아 수요‧공급망에 대한 로드맵 및 공동 개발 | |
해양 폐광구 활용 탄소저장사업 협력 양해각서 (한)석유공사 - (인니)Pertamina(국영석유회사) |
인니 해양 유‧가스 폐광구 시설의 CO2 저장시설 전환 등 탄소포집저장(CCS) 협력 추진 | |
변압기 제조 합작법인 계약 체결 (한)LS Electric - (인니)SYMPHOS |
변압기 제조법인 계약 체결 | |
전력기기 사업 협력 양해각서 (한)LS Electric - (인니)AG그룹 |
전력기기 분야 사업 협력 | |
산업 | 뿌리산업 인력양성 양해각서 (한)뿌리산업진흥센터 - (인니)산업인력개발원 |
인니에 뿌리산업 인력양성, 역량검증을 위한교육훈련센터 설립 등 인프라 구축 지원 |
건설기계 사업 협력 양해각서 (한)HD현대건설기계 - (인니)Petrosea |
엔진 재제조 및 Petrosea에 광산용 건설기계 공급 협력 등 | |
아세안 패션유통산업 시장 확장 협력 양해각서 (한)패션그룹형지 - (인니)유통협회(APRINDO) |
인니·아세안의 패션유통산업 시장 확장을 위한 협력 추진 | |
보건‧정책 | 국립 응우라병원 위탁운영 계약 체결 (한)선메디칼센터 - (인니)보건부 응우라병원 |
인니 보건부 소속 국립 응우라병원과 발리응우라&선메디칼센터 위탁운영 계약 체결 |
아세안 문제연구 협력 협정서 (한)고려대 아세안문제연구원‧정경대학 - (인니)인도네시아국립대 |
글로벌 인플레 및 공급망 위기에 따른아세안 문제 공동연구, 인력양성·교류 협력 |
한-인니, 전기차 생태계, 신산업 양해각서 2건 체결
인도네시아는 아세안 최대의 자동차 내수 시장이자, 니켈 등 풍부한 전기차 관련 광물을 보유하여 우리 자동차 및 배터리 기업의 현지 진출이 본격화되고 있는 미래 모빌리티 분야 유망 협력 국가이다. 이에 인도네시아와 체결한 「전기차 생태계 조성 협력 양해각서」를 통해 양국은 인프라 확충, 인력 양성, 국제 공동 연구, 정책 및 제도 등 4대 핵심 분야의 협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자카르타 현지에 금년 말 개소 예정인 「한-인니 모빌리티 협력 센터」는 세부 협력 사업들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전진기지가 될 예정이다.
한-인니 EV 생태계 조성 협력에 관한 양해각서
본 양해각서를 체결한 주체는 (한)산업통상자원부(MOTIE) - (인니)경제조정부(CMEA)이며 양해각서의 내용은 인프라, 인력, R&D, 제도 등 4대 분야에서 e-모빌리티 협력 추진 및 「한-인니 e-모빌리티 협력센터」 의 원활한 운영 지원이다. 이 협력을 바탕으로 인니를 핵심 거점으로 한 향후 아세안 e-모빌리티 시장 진출을 기대할 수 있다.
※ e-모빌리티 : 전기차 · 전기 이륜차 · 수소차 등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모든 이동 수단
※ 한-인니 e-모빌리티 협력센터
☞ 주관기관 : 한국자동차연구원
☞ 설립 근거 : 산업부 ODA 사업 (사업 기간 ‘22년-’26년, 소요예산 180억 원)
☞ 설립 위치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 Nemigas 연구단지 내(‘23.말 개소 예정)
☞ 역할 : e-모빌리티 및 충전기 시범 보급, A/S 센터 설치, 인력 양성, 정책 제언 등
한-인니 산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
본 양해각서를 체결한 주체는 (한)산업통상자원부(MOTIE) - (인니)산업부(MOI)이며 양해각서의 내용은 자동차, 철강, 석유화학, 전기전자, 바이오, 뿌리산업, 녹색산업, 디지털 경제 분야 등의 양국 정부 간 산업정책·기술·산업인력개발·교류,비즈니스 매칭 및 네트워크 구축 협력 등 추진이다. 이 협력을 바탕으로 미래 50년 동반 경제 성장을 위한 바이오·뿌리·디지털 경제 등 양국 간 신산업 분야의 육성과 협력을 위한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 이제 우리는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된 이후 민주국가와 공산국가와의 분열과 기술 독립이 빠르게 진행되는 과정에서 중국은 그동안 우리나라의 핵심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 세계 일류의 다양한 기술의 특허를 침해하고 도둑질한 결과 현재 상당한 기술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에 중국의 독자적인 기술적인 독립은 중국 내수 시장으로 점차 빠르게 확산하고 있으며 머지 않아 중국과의 교역은 끊어지기 마련일 것이다. 이에 미국과의 무역전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IRA법안에 따른 수혜를 보는 우리 대한민국은 이 기회를 놓치지말고 발빠르게 중국에 의존한 수출에서 인도네시아와 같은 새로운 아세안 국가로의 기술 협력에 나서야 할 것이다. 이번 인도네시아와의 여러 협력을 통한 기회가 양국이 미래 50년을 동반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
'주식투자 > 투자주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징 리더스 300 1기 38개 선정기업 27년까지 4조원 금융지원(라이징 리더스 2기 신청하기) (41) | 2023.09.14 |
---|---|
원전 100개사 수출 집중 지원 : 중소중견기업의 첫 수출 집중 지원 (35) | 2023.09.11 |
국내 연구팀 개발 해수 중 스트론튬-90 신속 측정기술, 기존 3주에서 1일만에 확인 (29) | 2023.08.29 |
차세대 네트워크(6G) 산업 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6G 경쟁력 확보, 본격 돌입 (46) | 2023.08.25 |
㈜뉴프렉스 경영악화에 불공정 하도급 거래행위 과징금 9,600만원 부과 (118) | 2023.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