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3년 2/4분기중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이하 같음) 0.6% 성장 (전년동기대비 0.9% 성장)
◈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전분기 수준(0.0%)을 유지
1. 국내총생산에 대한 지출
- 민간소비는 재화 소비가 전분기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서비스(음식숙박 등) 소비가 줄어들어 0.1% 감소
-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현물수혜가 줄어 1.9% 감소
- 건설투자는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0.3% 감소
- 설비투자는 기계류가 늘었으나 운송장비가 줄어 0.2% 감소
- 수출은 반도체, 자동차 등이 늘었으나 석유제품, 운수서비스 등이 줄어 1.8% 감소하였으며, 수입은 원유, 천연가스 등을 중심으로 4.2% 감소
2. 경제활동별 국내총생산
- 농림어업은 재배업을 중심으로 5.5% 증가
- 제조업은 컴퓨터·전자·광학기기 등이 늘어 2.8% 증가
-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수도, 하수 및 폐기물처리, 원료재생업 등이 줄어 6.0% 감소
- 건설업은 토목건설을 중심으로 3.4% 감소
-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줄었으나 운수업 등이 늘어 0.2% 증가
3. 실질 국내총소득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실질 국내총생산(0.6%) 증가에도 불구하고 교역조건 악화로 전분기 수준(0.0%)을 유지
▶ 국민소득통계 주요지표
<주요지표 확인 전 참고사항>
GDP를 포함한 대부분의 경제통계는 변동 주기에 따라 장기추세(trend), 순환(cycle), 계절 (seasonal), 불규칙(irregular)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1년을 주기로 반복하여 나타나는 계절변동은 경제통계의 단기 흐름(short term movement)을 파악하는 데 혼란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현재의 경제상황을 올바로 판단하기 위해 사전에 제거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작업을 계절조정(seasonal adjustment)이라고 하며 대부분의 통계작성기관에서는 원계열로부터 계절변동을 제거한 계절조정계열을 공표하고 있다.
▣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 GDP에 대한 성장기여도(계절조정계열)
▣ 경제활동별 성장률(계절조정계열)
▣ 지출항목별 증가율(계절조정계열)
▶ 참고지표
▣ 경제활동별 및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계절조정계열)
▣ 경제활동별 및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원계열)
▣ 최종수요에 대한 지출항목별 성장기여도
▣ 주요 경제활동별 성장률 추이
▣ 주요 지출항목별 증감률 추이
'주식투자 > 투자주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대 주력산업 20개 대기업 주도「산업 AI 얼라이언스」출범 (30) | 2023.07.27 |
---|---|
망막질환 진단보조소프트웨어(WISKY), 제 40호 혁신의료기기 지정 (10) | 2023.07.26 |
지역개발 공모사업 선정( 투자선도지구 / 지역수요맞춤지원 ) (4) | 2023.07.25 |
증권사 부동산 PF 채무보증에 따른 유동성 위기 직면 (32) | 2023.07.24 |
5대 선도 분야(물류·유통,금융,안전,행정,교육) 서비스의 디지털화 추진 (50) | 2023.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