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대우조선해양의 대손충당금 관련 내용 포함)에 대하여 알아보고 최근 대외 불확실성의 확대에 의한 자산건정성에 특별한 문제는 없는지 알아보자.
▶ 부실채권 현황
2023년 6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에 대한 현황과 신규발생되거나 정리된 부실채권들의 현재 추이와 기업이나 가계 여신 부문별 부실채권의 비율들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자.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현황
국내은행 부실채권비율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전분기말(0.41%) 및 전년동기(0.41%)와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부실채권은 10.5조원으로 전분기말 10.4조원 대비 0.1조원이 증가하였으며, 부실채권을 많이 보유한 부문은 기업여신이 8.2조원, 가계여신이 2.2조원, 신용카드채권이 0.2조원 순이다.
아래는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을 은행별로 정리한 표이다.
대손충당금적립률
대손충당금적립률은 226.4%로 예년 대비 높은 수준이나, 전분기말(229.9%) 대비로는 (구)대우조선해양 관련 대손충당금 환입(△1.2조원) 등으로 3.5%p 하락하였다. 전년 동기(205.6%)에 비하면 20.8%p 상승하였다.
※ 대손충당금적립률 = 총대손충당금잔액 /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아래는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을 은행별로 정리한 표이다.
아래의 표는 21년부터 23년까지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규모 및 비율의 변화 추이를 도식화하였다.
신규발생 및 정리된 부실채권 현황
신규발생 부실채권
2023년 2분기 중 신규발생한 부실채권은 4.0조원으로 전분기(3.0조원) 대비 1.0조원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기(2.3조원)로는 1.7조원이 증가하였다. 이 중 기업여신의 신규부실은 2.8조원으로 전분기(1.9조원) 대비 0.9조원 증가하였으며 가계여신의 신규부실은 1.0조원으로 전분기(1.0조원)와 유사했다.
부실채권 정리규모
2023년 2분기 중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3.9조원으로 전분기(2.7조원) 대비 1.2조원 증가하였으며 전년 동기(2.9조원) 대비 1.0조원이 증가하였다. 부실채권 정리규모는 상·매각(대손상각 1.0조원, 매각 1.3조원), 여신 정상화(0.8조원), 담보처분을 통한 여신회수(0.5조원) 등의 순이다.
아래의 표와 그림은 신규발생 및 정리된 부실채권의 추이를 도식화하였다.
부문별 부실채권비율
기업여신
기업여신의 부실채권비율(0.49%)은 전분기말(0.50%) 대비 0.01%p 하락하였으며 전년 동기(0.55%) 대비 0.06%p 하락하였다.
기업여신을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대기업여신(0.35%)은 전분기말(0.38%) 대비 0.03%p 하락 [전년 동기(0.67%) 대비 0.32%p 하락]
- 중소기업여신(0.57%)은 전분기말(0.57%)과 동일한 수준 [전년 동기(0.50%) 대비 0.07%p 상승]
- 중소법인(0.77%)은 전분기말(0.80%) 대비 0.03%p 하락 [전년 동기(0.73%) 대비 0.04%p 상승]
- 개인사업자여신(0.30%)은 전분기말(0.27%) 대비 0.03%p 상승 [전년 동기(0.19%) 대비 0.11%p 상승]
가계여신
가계여신의 부실채권비율(0.24%)은 전분기말(0.23%) 대비 0.02%p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기(0.17%) 대비 0.07%p 상승하였다.
가계여신을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주택담보대출(0.16%)은 전분기말(0.14%) 대비 0.02%p 상승 [전년 동기(0.11%) 대비 0.05%p 상승]
- 기타 신용대출(0.47%)은 전분기말(0.45%) 대비 0.02%p 상승 [전년 동기(0.30%) 대비 0.17%p 상승]
신용카드채권
신용카드채권의 부실채권비율(1.27%)은 전분기말(1.20%) 대비 0.07%p 상승하였으며 전년 동기(0.87%) 대비 0.40%p 상승하였다.
아래의 표는 부문별 부실채권비율을 도식화하였다.
▶ 부실채권에 따른 자산건전성은 안전한가?
2023년 6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전분기말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전반적으로 양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대손충당금적립률도 2분기 중 (구)대우조선해양 관련 충당금 환입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고 수준을 지속해서 유지하고 있다.
다만, 최근 중국 부동산시장의 불안과 경기의 후퇴 및 미국 국채금리 상승 등의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 대비하여 선제적인 자산건전성의 관리 강화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자료의 출처는 금융감독원(https://www.fss.or.kr/)에 있습니다.
'주식투자 > 시장 파악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8월 수출입 동향 무역수지 3개월 연속 흑자 달성 수출감소율 둔화세 지속 (65) | 2023.09.07 |
---|---|
2023년 유난히도 많았던 자연재해의 여파와 국제유가의 끊임없는 상승가도 속 8월의 소비자물가동향 (71) | 2023.09.06 |
2024년 정부 예산안(보훈, 복지, 국방, 국가, 약자지원, 소상공인, 출산육아 등 예산안) (106) | 2023.09.02 |
2024년 정부 예산안 군주거·병영개선 및 국제사회 ODA 확대 및 수해 피해 예방 등에 대한 지원 (24) | 2023.09.02 |
2024년 정부 예산안 첨단서비스분야, K-콘텐츠 지원, 지방활성화 등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지원 (10) | 2023.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