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연관산업의 4대 주력산업 중 하나인 펫테크 분야의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자.
▶ 펫테크 스타트업 육성 및 데이터 생태계 조성
◈ (현황 및 여건) IT·BT 기술력을 바탕으로 신규 기업이 창출·성장 중이나, 우리 기업이 선도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성장 기반 부족
◈ (목표) ‘32년까지 펫테크 시장 규모 5억 달러 달성
▣ (집중 육성) 첨단기술 육성 주요 분야로 지정 및 육성
☞ 인공지능, BT 등 첨단기술이 접목된 펫테크 분야 등을 농식품첨단기술 분야로 지정*하여 육성(’24~, 기업당 280백만원**)
* (현재) 그린바이오, 스마트농업 → (변경) 그린바이오, 스마트농업, 반려동물 신기술산업
** 제품 사업화·공정개선 및 시제품 개발 등 지원, 경영·유통 등 전문가 멘토링 지원 등
※ CES 등 해외에서 우리 기술은 인정받고 있으며, 특허출원 지속 증가
▸반려용품 특허출원(통계청) : ’14년 140건 → ‘18년 465건 (332%↑)
▣ (종합지원) 사업화 자금, 판로 확대 등 전주기 지원 및 제도 개선
☞ 예비창업자·창업기업을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 판로 확대 등 관리·지원 및 농식품 창업콘테스트 활용 등 우수기술·기업 홍보(’23~)
☞ 스타트업 제품 개발 단계에서 수의사 등 전문인력의 참여 확대할 수 있도록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제도 개선(’23.下, 중기부)
* 전문인력 등의 임금 비용을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 등으로 부여
▣ (데이터) 반려동물 등록 데이터 공유 및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확대
☞ 기업이 시장 모델을 분석 및 다각화하도록 동물등록 데이터* 공유(‘23.下)
* 지역, 견종, 나이, 성별 등 현재 미공개 (국가동물보호관리시스템)
☞ 질병예방·관리, 생체·감정인식 등 인공지능 기술 고도화를 위한 반려동물 관련 학습용 데이터 확대 구축·공유 검토(과기부·농식품부)
* AI-HUB(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운영) 내 피부·안구질환 데이터, 반려동물 구분 영상데이터 등 구축된 상황으로, 현장 수요 등에 따라 학습용 데이터 확대
◎ 펫테크 외 4대 주력 산업 살펴보기
펫푸드 특화제도 마련 및 생산 기반 강화
펫헬스케어 진료비 부담완화 & 펫보험 활성화
펫서비스 인력 확충 및 서비스 확산 환경 조성
'주식투자 > 투자주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품 투자 플랫폼 (주)투게더아트 최초 투자계약증권 증권신고서 접수 (44) | 2023.08.15 |
---|---|
반려동물 연관산업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 (60) | 2023.08.15 |
반려동물 연관산업 4대 주력산업 #펫서비스 인력 확충 및 서비스 확산 환경 조성 (7) | 2023.08.15 |
반려동물 연관산업 4대 주력산업 #펫헬스케어 진료비 부담완화 & 펫보험 활성화 (11) | 2023.08.15 |
반려동물 연관산업 4대 주력산업 #펫푸드 특화제도 마련 및 생산 기반 강화 (9)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