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연관산업의 4대 주력산업 중 하나인 펫푸드 분야의 자세한 내용을 알아보자.
▶ 펫푸드 특화제도 마련 및 생산 기반 강화
◈ (현황 및 여건) 제도적으로 가축용 사료와 함께 관리되어 펫푸드 산업 성장이 지체되고, 원료의 등록·확보 등 지원이 부족
◈ (목표) 글로벌 스탠다드 부합 제도로 개편하고, 생산원료 다양화·국산화
※ 펫푸드 국내시장 규모 : (‘22) 1.8조원 → (‘27) 3.6 → (‘32) 10
▣ (분류체계) 가축용 사료와 구분되는 별도의 펫푸드 분류체계 마련
☞ 선진국의 펫푸드 분류체계 조사·분석(연구, ~’23.下) 토대로 개선방안*을 마련(’23)하고, 사료관리법 개정 등 추진(‘24)
* (현재) 단미사료, 배합사료, 보조사료 → (개선안) 주식, 간식, 특수목적식
※ (해외사례) AAFCO(미국사료관리협회, 1909년 창립)
▸ AAFCO는 펫푸드를 기능 중심으로 분류(주식, 간식, 특수목적식)하며, 미국 정부는 AAFCO가 제안한 분류체계를 반영하여 제도화
▸ 다만, 우리나라 펫푸드 분류체계는 원료 중심으로 분류하는 가축용 사료 분류체계(단미, 배합, 보조)와 별도 구분하지 않아, 표시기준, 영양학 등 발전에 한계
▣ (표시) 소비자 알권리 강화, 정보 혼선 방지 등을 위한 표시기준 개선
☞ 의무 표시사항 개선(이해하기 쉬운 원재료로 명칭 개정 등), 표시정보강화*(‘24.上, 사료관리법 고시 개정), 허위·과장광고 점검 등 추진(‘23.下)
* 소비자 중요 인식 표시사항(원료 함량, 원산지, 급여 방법 등) 중심으로 정보 강화
▣ (영양) 반려동물 식생활을 반영한 균형 잡힌 영양 가이드라인 마련
* 반려동물은 사람처럼 다양한 음식 섭취가 어렵고, 오로지 반려인의 선택으로 급여되기에 영양기준을 충족하는 ’완전식품‘ 개념이 중요(한국수의영양학회, ’21)
☞ ’반려동물 영양 가이드라인 협의체’ 발족(‘23.10월) 및 해외사례조사·검토(연구, ’24.上) 후, 영양 가이드라인 마련·적용(‘24)
※ (해외사례) FEDIAF(유럽펫푸드산업연합) : EU 내 펫푸드 관련 제도 신설 기관
▸ 유럽연합과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노르웨이, 러시아, 세르비아, 스위스의 국가 반려동물 식품산업 협회를 대표하며, 유럽 내 약 150개 반려동물 식품 기업을 대변
▸ FEDIAF는 활동성 보통인 성견·성묘, 14주령 이하 자견·자묘 등 성장단계별 영양 가이드라인 제시
▣ (원료등록) 신제품 개발을 위한 원료 발굴·연구 및 등록(공정 설정)
☞ 기능성 펫푸드 등 제품 개발을 위해 수요가 큰 원료 조사후, 안전성 등을 거쳐 활용 가능 원료로 설정 추진(’24~)
※ (예시) 「사료관리법」 상 미등록 생산원료 중 기업 수요가 높은 원료
▸(니코틴아마이드 모노뉴클레오티드) 체중 증가, 혈중 비타민 B3 증가 등의 효과가 있으며, 일본 후생성에서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원료 및 기능성·안전성을 인정
▸(락토바실러스 뮤코제) 천연항생물질 생성, 유해미생물 억제, 미네랄 흡수 촉진 등효과가 있으며, 유럽 식품안전국에 생물학적 제제로 등록(‘19)
▣ (원료확보) 동물성 단백질 원료 공급망 확대 및 원료매입 등 지원
☞ 계란 등 검역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열처리 과정을 대체할 수있는열처리 동등성 처리방법 연구(‘23.上~) 및 적용 검토
* 사료용 동물성 가공단백질 수입위생조건에 따라 습열멸균(121℃ 15~20분 또는 115℃ 35분), 건열멸균(160~170℃에서 1~2시간) 등 방법으로 처리 필요
☞ 안정적 원료확보 및 수출국 위생조건(시설 등) 등 생산 기반확충을위한 국내산 원료매입·시설자금 지원(‘23~)
* 지원조건 : 융자 80%, 자부담 20%, (원료) 2년, 금리 3% / (시설) 3년 거치 7년 상환, 3%
▣ (약용 소재) 반려동물 약용 소재 활용 펫푸드 산업화 지원
☞ 약용 소재 활용 펫푸드에 대한 효능분석, 시제품 생산시설·장비등을 위한 시설·장비 구축 지원* 검토
* 특용작물산업화지원센터사업 신규사업자 선정 시 반영
◎ 펫푸드 외 4대 주력 산업 살펴보기
펫헬스케어 진료비 부담완화 & 펫보험 활성화
펫서비스 인력 확충 및 서비스 확산 환경 조성
펫테크 스타트업 육성 및 데이터 생태계 조성
'주식투자 > 투자주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동물 연관산업 4대 주력산업 #펫서비스 인력 확충 및 서비스 확산 환경 조성 (7) | 2023.08.15 |
---|---|
반려동물 연관산업 4대 주력산업 #펫헬스케어 진료비 부담완화 & 펫보험 활성화 (11) | 2023.08.15 |
반려동물 연관산업 추진 배경과 국내 · 해외 반려동물시장 동향 (54) | 2023.08.14 |
중국 부동산 시장의 불안# 비구이위안 디폴트와 도미노 효과 (61) | 2023.08.14 |
2023년 7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 (37)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