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투자주요정보

12개 전략산업 우대 지원!! 풀리는 유동성 13조원 규모 정책금융자금

LeejiiLab 2023. 8. 21. 18:53
반응형

12개 전략산업분야(디스플레이, 수소, 미래차, 항공우주, 철강, 탄소, 기계, 배터리, 조선, 반도체, 광학, 전기)를 대상으로 하는 13조원 규모에 해당되는 정책금융 자금지원 우대 후보기업을 모집한다.

이번 시장에 풀리는 유동성 13조원 규모의 주인공이 될 후보기업 요건에 부합하는 기업은 정책금융기관(산업은행·기업은행·신용보증기금)에서 신속한 여신심사와 함께 심사 통과 시 자금지원 추가 우대를 받을 수 있도록 추진한다.

후보기업 요건은 산업별 특성을 반영하여 혁신성과 성장성이 뛰어난 기업을 확인하는 객관적 기준으로 마련되었다. 신청을 희망하는 기업은 9월 11일까지 분야별 담당기관으로 신청서 및 후보기업 요건 해당 증빙자료를 제출하여야 한다. 후보기업 요건에 부합하는 기업 목록은 9월 중으로 정책금융기관으로 전달할 예정이다.

금융위는 5대 전략과제를 선정하고 산업별 소관 부처가 제안한 핵심사업들에 총 26조 원을 투입할 계획이며, 금번 12개 산업분야에는 약 13조 원을 지원한다.

▶ 지원분야


지원분야는 디스플레이, 수소, 미래차(내연기관차 부품 사업재편 포함), 항공우주, 철강, 탄소, 기계, 배터리, 조선, 반도체, 광학, 전기 (총 12개 분야)로 구분된다. 다음은 자세한 분야별 중점지원 대상 및 배정금액에 대한 내용이다.

※ 산은: 산업은행, 기은: 기업은행, 신보: 신용보증기금

분야 분야별 중점지원 대상(예시) 및 배정금액
디스플레이 ※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기업의 차세대 OLED(Quantum Display 등) 생산을 위한 신규 시설자금 및 원자재 매입대금 대출

※ OLED 장비기업의 장비 제작자금에 대한 우대보증 제공

→ 산은 5,800억 / 기은 400억 / 신보 600억 (정책펀드 별도운영)
수소  청정수소 분야 생산설비 투자 및 7대 핵심기술* 개발을 위한 R&D 등에 소요되는 자금을 우대대출ㆍ보증

* ①수전해 ②액화수소 운송 ③운송트레일러 ④수소충전소 ⑤ 모빌리티 연료전지 ⑥발전용 연료전지 ⑦수소터빈

→ 산은 4,100억 / 기은 200억 / 신보 700억 (정책펀드 별도운영)
미래차 ※ 미래차 부품업체의 생산설비 증설 및 핵심기술 개발, 우수인력 영입 등에 필요한 시설ㆍ운영자금을 우대조건 대출

※ 완성차업체(대기업) 출연재원을 바탕으로 유망 미래차 부품업체에 대한 대출에 우대보증 지원

→ (미래차) 산은 8,000억/ 기은 5,200억/ 신보 1,000억 (펀드 별도운영)
    (부품사 사업재편) 산은 4,900억 / 기은 2,100억 / 신보 2,000억
항공우주  항공부품업체의 해외수주 확대를 위한 생산설비 확충 및 기술 국산화를 위한 R&D 자금 지원

 
국내 부품업체의 글로벌 민항기 공동개발(RSP*) 사업 참여를 위한 생산용량 확충 및 자본확충 지원

→ 산은 1,400억 / 기은 700억 / 신보 100억
철강 ※ 철강제조사의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친환경 전기로 투자, 고로설비 개선 등에 필요한 장기ㆍ대규모 자금을 우대조건으로 지원

※ 3고 현상에 따른 원자재가 인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협력 중소기업에 대하여 운영자금을 우대조건으로 지원

→ 산은 1.8조 / 기은 2,000억
탄소  국내기업의 프리미엄 탄소소재 핵심기술 개발 및 신규응용제품 창출을 위한 R&D 자금 융자지원

 국내기업의 글로벌 점유율 확대를 위한 생산설비 증설 및 신제품검증을 위한 시설자금 융자지원

→ 산은 2,700억 / 기은 400억 / 신보 1,000억
기계 ※ 고금리 및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리스크 대응을 위해 중견·중소기업 대상 우대금리 지원

→ 산은 7,500억 / 기은 9,000억 / 신보 1.5조
배터리 ※ 완제품 생산기업의 차세대 배터리 연구개발 소요자금 대출 (리튬이온 배터리 중심 → 전고체전지 중심)

※ 핵심소재 국산화를 위한 소재기업 시설ㆍR&D 투자자금 대출

※ 해외광산 확보를 위한 재원 조성

→ 산은 1.2조원/ 기은 1,000억/ 신보 100억
조선 ※ 친환경ㆍ자율운행선박 중심의 생산구조 고도화를 위해 조선사 및 협력업체의 R&D, 신규설비 도입 및 인력유치 자금 등 지원

※ 시황회복기를 맞아 조선사의 수주 증가가 가능하도록 시중은행 등과 협력하여 조선사 앞 RG 공급량을 적정량으로 유지

→ 산은 1.7조원(대출 및 RG 발급) / 기은 1,000억 / 신보 800억
반도체  (시스템반도체 일반) 팹리스ㆍ패키징 기업 등의 생산설비 증설 및 기술력 강화를 위한 설비ㆍR&D 자금 등을 우대조건 공급

 (반도체 소부장) 공급망 중요성이 큰 핵심전략품목을 중심으로 국내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술개발 및 자본확충 자금 등 지원

→ 산은 3,000억 / 기은 1,200억 / 신보 1,100억 (정책펀드 별도운영)
광학 ※ 광학분야 소부장 기업들의 제조기술 고도화*, 스마트화 등에 필요한 R&Dㆍ설비투자 자금 등을 우대조건으로 지원

→ 산은 900억 / 기은 400억
전기 ※ 에너지 단가, 금리인상 등에 따른 경영애로 해소를 중심으로 금리우대 지원

→ 산은 800억 / 기은 200억

※ 기은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지원대상을 심사하며, 산은은 중견기업 이상을 대상으로 심사함. 한편, 신보는 기업규모에 무관하게 보증 심사함.

▶ 분야 · 정책금융기관별 주요 상품 세부 정보


1. 디스플레이 분야

산업은행

설비투자촉진 지원자금(OLED 신규 설비투자 등) : 시설자금 금리우대 (최대 △1.0%p)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자금(OLED 관련 소부장 등) : 운영 ·시설자금 금리우대 (최대 △0.5%p)

기업은행

 대한민국 대전환대출 (OLED 디스플레이 영위기업 등) : 운전·시설자금 대출한도 및 대출금리 우대 (최대 △1.3%p)

신용보증기금

 신성장동력산업 영위기업 우대보증(디스플레이 기업) :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최대 0.2%p 차감)

 공동프로젝트 보증 (대기업 등과 공동으로 미래 혁신사업에 참여하는 협력업체) :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 (고정보증료 0.8%)

 

2. 수소 분야

산업은행

대한민국 대전환 특별자금(그린 인프라 구축 등) : 운영·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0.8%p)

KDB 탄소스프레드(연료전환 등) : 시설자금 금리우대 (최대 △2.6%p)

기업은행

 대한민국 대전환대출 (수소에너지, 수소전기차 등) : 운전ㆍ시설자금 대출한도 및 대출금리 우대(최대 △1.3%p)

신용보증기금

 신성장동력산업 영위기업 우대보증(수소경제 기업) :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최대 0.2%p 차감)

 

3. 미래차 분야

산업은행

혁신성장산업 지원자금(미래차 기술개발 등) : 운영·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0.6%p)

 신성장 경쟁력 강화 지원자금(미래차 전환추진업체 등) : 운영·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0.7%p)

기업은행

대한민국 대전환대출(미래차부품 기업 등) : 운전ㆍ시설자금 대출한도 및 대출금리 우대(최대 △1.3%p)

동반성장협력대출(현대차그룹 협업) : 현대차그룹 협력업체의 미래차 전환에 필요한 운전자금 대출금리 우대(△2.23%p)

턴업(Turn-up) 기업 지원자금대출(신사업 진출 기업 등) : 운전ㆍ시설자금 대출한도 및 대출금리 우대(최대 △1.3%p)

신용보증기금

 공동프로젝트 보증 (대기업 등과 공동으로 미래 혁신사업에 참여하는 협력업체) :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 (고정보증료 0.8%)

수출기업 종합 지원 프로그램 :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최대 0.2%p 차감)

 

4. 항공우주 분야

산업은행

혁신성장산업 지원자금 : 설비투자ㆍR&Dㆍ운영자금 금리우대 (최대 △0.6%p)

기업은행

 혁신성장비전기업대출 : 운전ㆍ시설자금대출 금리우대 (최대 △1%p)

 

5. 철강 분야

산업은행

KDB 탄소스프레드(철강설비의 저탄소 전환 등) : 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2.6%p)

기업은행

 철강 ESG동반성장협력대출(기은-POSCO-현대제철-철강협회 협업) : 협력업체 운전자금 대출금리 우대 (△2.01%p 자동감면)

 

6. 탄소 분야

산업은행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자금 : 설비투자ㆍR&Dㆍ운영자금 금리우대 (최대 △0.5%p)

기업은행

 혁신성장비전기업대출 : 운전ㆍ시설자금대출 금리우대 (최대 △1%p)

신용보증기금

신성장동력산업 영위기업보증 : 보증비율 우대(90%), 보증료 차감 (최대 △0.2%p)

 

7. 기계 분야

산업은행

KDB 안심금리전환 지원자금 : 고정금리 수요 기업 금리우대(최대 1.0%p) 및 고정↔변동 전환권 부여

상생경영 우수기업 특별자원자금 : 납품단가 연동계약 실시 기업 금리우대 (최대 △0.7%p)

기업은행

 3중고 극복 지원대출 : 원가, 환율, 인건비변동에 대한 애로기업 금리우대(최대 1.5%p)

안심고정금리 특별대출 : 고정금리 수요 기업에 대해 금리우대(최대 1.0%p)

신용보증기금

글로벌 공급망 경색 피해기업 특례보증 : 원자재 수급 차질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에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최대 0.3%p 차감)

금융비용 경감을 위한 특례보증 : 보증비율(95%), 보증료(최대 0.2%p 차감) 및 대출금리 우대

 

8. 배터리 분야

산업은행

신성장경쟁력강화 지원자금(차세대 배터리) : 운영·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0.7%p)

혁신성장산업 지원자금(배터리 핵심소재 등) : 운영 ·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0.6%p)

기업은행

대한민국 대전환대출(배터리 생산 협력업체 등) : 운전ㆍ시설자금 대출한도 및 대출금리 우대(최대 △1.3%p)

신용보증기금

소재·부품·장비분야 경쟁력강화 지원 프로그램 : 보증비율(최대 100%) 및 보증료 우대(최대 0.5%p 차감)

신성장동력산업 영위기업 우대보증(이차전지 기업) :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최대 0.2%p 차감)

 

9. 조선 분야

산업은행

대한민국 대전환 특별자금(친환경 설비투자 등) : 운영·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0.8%p)

설비투자촉진 지원자금(조선업 신규 설비 도입 등) : 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1.0%p)

선수급 환급보증(RG) : 조선사의 선주 앞 수주이행 보증

기업은행

기술혁신기업대출(기은-산업부 협업) : 산업부 R&D 과제 수행기업에 대출한도 및 금리 우대 (△0.7%p 자동감면)

신용보증기금

조선기자재 기업에 대한 특례보증 :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최대 0.3%p 차감)

중소조선사 선수금환급보증(RG) 특례보증 : 금융회사의 선수금환급보증 이행으로 부담하는 금전채무에 보증비율(85%) 및 보증료 우대(최대 0.5%p 차감)

 

10. 반도체 분야

산업은행

소부장산업 지원자금(소부장) : 설비투자ㆍR&Dㆍ운영자금 금리우대(최대 △0.5%p)

기업은행

혁신성장비전 대출(소부장 중심) : 운전ㆍ시설자금대출 금리우대(최대 △1.0%p)

대한민국 대전환대출(시스템반도체, 소부장 공통) : 운전ㆍ시설자금 대출한도 및 대출금리 우대(최대 △1.3%p)

신용보증기금

소재·부품·장비분야 경쟁력강화 지원 프로그램 : 보증비율(최대 100%) 및 보증료 우대 (최대 0.5%p 차감)

신성장동력산업 영위기업 우대보증(반도체 기업) : 보증비율(90%) 및 보증료 우대 (최대 0.2%p 차감)

 

11. 광학 분야

산업은행

소재·부품·장비산업 지원자금(광학분야 소부장 등) : 운영ㆍ시설자금 금리우대(최대 △0.5%p)

기업은행

기술혁신기업대출(기은-산업부 협업) : 산업부 R&D 과제 수행기업에 대출한도 및 금리 우대(△0.7%p 자동감면)

 

12. 전기 분야

산업은행

KDB 안심금리전환 지원자금 : 고정금리 수요 기업 금리우대 (최대 1.0%p) 및 고정↔변동 전환권 부여

상생경영 우수기업 특별자원자금 : 납품단가 연동계약 실시 기업 금리우대 (최대 △0.7%p)

기업은행

3중고 극복 지원대출 : 원가, 환율, 인건비변동에 대한 애로기업 금리우대(최대 1.5%p)

안심고정금리 특별대출 : 고정금리 수요 기업에 대해 금리우대 (최대 1.0%p)

▶ 정책금융 자금지원 우대 추진절차


신청 희망 기업은 공고문*의 ‘선정제외 기준’ 해당여부 및 ‘분야별 신청자격’을 확인한다. 선정제외 대상이 아니며, 분야별 신청자격을 충족하는 경우 ‘23.9.11(월) 18:00까지 ‘분야별 신청 및 문의처’ 소관 업종 담당자의 메일주소로 아래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 '선정제외 기준' 해당여부 및 '분야별 신청자격' 확인은 아래 파일에서 확인

2023년 주요산업 분야 정책금융 자금지원 우대 후보기업 모집 통합공고문.pdf
0.44MB
정책금융 지원 우대 신청서 및 제출서류

각 분야별 전담기관은 증빙자료를 검토 후 우대조건 충족기업 목록을 부처를 거쳐 정책금융기관으로 송부하고 정책금융기관의 대출·보증 심사를 통해 최종 지원기업을 선정한다.

※ 분야별 전담기관은 증빙자료 검토과정에서 기업에 자료보완을 요청할 수 있음

※ 정책금융기관은 대출·보증 심사 과정에서 기업에 대해 추가자료 제출 요구 가능

정책금융 자금공급 추진 절차(안)

 

▶ 분야별 문의처


12대 분야별 문의처